반응형

선총독부 중앙청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의 한반도 식민지 통치행정기관이었던 조선총독부의 청사 건물.


1926년에 완공되었다.


아시아 최대의 근대건축물




광복 이후에는 중앙 정부기관이라는 뜻의 중앙청이라 불리며 


정부의 중앙 행정 기관과 의회당으로 활용되었고, 


해체 당시에는 최대 규모의 박물관으로 활용 중이었으나




광복 50주년인 1995년 8월 15일 김영삼 정부에 의해 철거되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 [백과사진첩]




조선 총독 관저

용산 관저


서양 대부호 귀족의 정원이 딸린 호화로운 대저택이 연상되는 매우 인상적인 건물인데,


국가기록원에 의하면 도심과 거리가 먼 데다 과다한 유지비 때문에 경식 연회 행사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아 방치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1950년 한국전쟁때 소실되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2 [백과사진첩]




남산 관저


왜성대는 한일 합병 조약을 체결하여 광화문 경복궁에 총독부 청사를 세우기 전 사용하던 통감부 청사이다.


일본은 대한제국에 강제로 을사조약을 체결한 후, 이 기관을 설립하여 한반도에 대한 수탈을 본격화하였다.


광복 후 국립과학박물관으로 사용되다 1950년 한국전쟁때 소실되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9 [백과사진첩]




종로 관저


경무대는 과거 대한민국의 대통령집무실 겸 관저로, 청와대의 옛 이름이다.


일제강점기 일본의 조선 총독 관저로 쓰였다가 광복 후 이승만 초대 대통령이 이 곳을 경무대로 개칭하였고,


이후 2대 윤보선 대통령이 청와대로 개명하였다.


이후 노태우 정권 때까지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다가 이름은 그대로 유지한 채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되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330 [백과사진첩]





조선 신궁

일제강점기 때 일제가 지금의 서울 남산 중턱에 세웠던 일본식 신사(神社). 


1920년에 '조선신사(朝鮮神社)'라는 이름으로 세워졌고 

1925년에 '신궁(神宮)'으로 올려졌다가 

1945년 일제로부터 해방이 되면서 철거되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0 [백과사진첩]





경성우편국

우편국은 지금의 우체국이다. 1913년 10월에 착공되어 1915년 9월 15일에 준공되었다. 


지하 3층의 연건평 1,320평 넓이로 지어진 이 건물은 19세기풍의 르네상스 구조 양식으로 

외양은 붉은 벽돌과 석조 혼합 건물 위에 청동 지붕이 있는 구조였다.


한국전쟁때 반파되어 1957년에 남아있던 철골을 기반으로 흰색 칠을 하고 보수했으나 1981년에 철거되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7 [백과사진첩]




동양척식회사

1908년 일제(日帝)가 조선의 토지와 자원을 수탈하고 경제권 이득 착취를 위해 설립된 국책회사. 



과거 인도의 이슬람 무굴 제국을 식민지화 하였던 영국의 동인도회사를 모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설립 이후 조선의 경제권 이득 착취와 수탈행위를 일삼아왔다. 


한자만 놓고 보면 '개척(拓)하여 (자국민을) 이식(殖)하는 회사'이지만 무주 황무지도 아닌, 

멀쩡히 주인 있는 땅에 대해 개척 어쩌고 한 데서부터 침략을 정당화하는 구실로밖엔 설명이 안 된다.


풀네임은 '동양척식주식회사' 이며 줄여서 '동척' 라고도 한다.


현 행정자치부인 내무부의 청사로 쓰였다가 철거되고 이 자리에 외환은행 본점이 들어서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8 [백과사진첩]




총독부시정 5주년 조선물산공진회 동양척식회사 특설관 1915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161 [백과사진첩]




조선 철도 호텔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개업한 조선총독부 산하 철도국 직영의 국영호텔이었다.


지금으로 치면 공항 호텔 정도로 보면 될 것이다.


통일이 되면 다시 철도 호텔이 생길수도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6 [백과사진첩]




원래 이 자리에 있던 환구단. 고려 성종때 지어져 조선 말기까지 사용된 제단이다.


하늘의 신 "상제"와 오방의 신, 그리고 태조 왕건에게 제사 지내며 기우제를 지낸 장소.


이 신단을 허물고 철도호텔이 들어섰다. 현재는 삼성가의 신라호텔이 있는 곳.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60 [백과사진첩]




조선주식현물시장

1922년 조선주식현물시장으로 건설되어 해방 후 대한증권거래소로 사용되다가 1979년 증권거래소가 여의도로 이전한 뒤 빌딩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2005년 초에 경매에 넘어가더니 그 해 10월에 철거되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274 [백과사진첩]




화신백화점

1937년 11월 건설된 당시 경성부에서 제일 큰 백화점. 해방 후에도 계속 운영되다가 1987년 철거되어버렸다. 

지금 이 자리엔 현재 미국 특사이자 중앙일보/JTBC 회장인 홍석현의 종로타워가 들어서 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308 [백과사진첩]




부산세관

1910년 11월 준공된 영국풍 르네상스 양식의 2층 벽돌 건물.

벽돌과 잘 다듬은 화강암을 잘 조화시킨 건물이었다.

1973년 부산시 유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으나 1979년 도로확장공사를 이유로 문화재에서 지정 철회가 되었고 결국 철거되는 비운을 맞이한 건물이다. 

(현재 부산은 유형문화재 제22호가 비어있음)

지금은 마지막 사진의 탑두부만이 보존되어 있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233 [백과사진첩]




부산우체국





부산저금관리소

1904년 지어진 건물이다.

일본인 상업회의소에서 자신들의 상품을 전시할 목적으로 지은 건물로, 부산에서 건축된 서양식 건축물의 시초라고 한다.
3층의 벽돌 건물로 좌우에 뾰족한 원뿔형 지붕을 올린 독특한 외관에 규모도 커 당시 부산항 최고의 건물로 불렸고 전해진다.

1906년 조선 최초의 박람회인 한일상품박람회가 열린 곳.
1927년부터 부산 저금관리소의 건물로 사용되었다가 

1953년 부산역전 대화재로 부산우체국이 불타자 임시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어떻게 사라지게 되었는지는 정보가 없음...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234 [백과사진첩]




부산역

일제가 한반도 부산에 세운 철도역이다. 


대한민국의 근대사를 관통하는 대동맥 철도인 경부선의 종점역인 만큼 상당히 험난한 역사를 가지고 있기도 했던 역.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273 [백과사진첩]




대구역

일제강점기의 대구역은 다른 역보다 뛰어나진 않았지만 르네상스 양식이 돋보이는 아름다운 건축물이었다.
그러나 70년대에 콘크리트 신축을 위해 철거되었고, 2003년에 롯데백화점 민자역사로 신축된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07 [백과사진첩]




대전역

대전역은 대구역과 그 모습이 흡사하다.
같은 설계도로 건축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역시 아름다운 미관을 자랑했으나 58년에 슬레이트를 얹은 콘크리트 건물을 신축하기 위해 철거된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08 [백과사진첩]



전주역

일제시대에 일본 신사 양식으로 지어진(사실 이 건축 양식은 한국으로부터 전해졌으며 이 또한 중국으로부터 전파되었다) 

철도 기차역이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2170 [백과사진첩]




광주역

경기도 광주시가 아닌 전라도 광주광역시에 지어졌던 기차역이다

부산역 대구역과의 차이를 보면 경상도와 전라도의 영호남 개발 격차는 일제시대부터 이어져 온 듯 하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2171 [백과사진첩]





용산역

용산역은 경성역이 세워지기 전까진 서울 최대규모의 역사였다.
러일전쟁 직후 서양식 목조건물로 건축되었고
해방 이후 아담한 콘크리트 건물로 신축된다.
원인은 아마 수용능력과 일제의 잔재임이 아니었을까 생각된다..

이후 민자역사로 새로이 증축되면서 국내 최대의 민자역사로 발돋움한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06 [백과사진첩]





청량리역









축현역

동인천역으로 개칭된 철도역.

6.25전쟁 때 완전히 소실되었다.


수인역

수인역은 수원과 인천을 잇는 수인선의 인천출발역이었다.
이후 수인선에서 남인천역으로 이름을 바꾸고 신축하였으나
주택가 가까이 다니며 큰 소음을 유발하였고더불어 수인선이 폐선됨에 따라
남인천역 역시 현재엔 존재하지 않는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509 [백과사진첩]



수원역

수원역은 서양식으로 지어진 여타 역사와는 다르게 한옥 양식으로 지어졌다.

그러나 이 역시 증축을 위해 철거되었고 현재의 AK플라자 수원점 민자역사로 신축된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2163 [백과사진첩]







목포역



군산역




익산역



여수역








다음은 구한말 대한제국 시기에 건축되었으나 일제시대에 중요 역할을 한 건물









경성일보 사옥



경성일보는 일제강점기의 신문사로, 

대한제국 구한말부터 일제시대에 걸쳐 조선총독부 기관지로 경성(서울)에서 발행된 일어신문이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747 [백과사진첩]



종로경찰서

한성전기회사


원래는 고종황제의 명으로 1901년에 건축된 한성전기회사 사옥이다. 서울 종로2가에 있던 건물 


김상옥 열사가 이곳에 폭탄테러를 하여 건물이 옮겨지게 된다.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134 [백과사진첩]




평리원


대한제국 시기 최고법원이었으나 구 한전 사옥이 폭탄으로 파괴되자 종로경찰서가 이 건물로 이전하였다.

현재로 치면 대법원 같은 건물



출처: http://khariles.tistory.com/1135 [백과사진첩]














대한방직협회


남대문 부근에 있던 방직사 건물이다.















추가로 현재 남아있는 일제시대 건축물들 중 대표적인 것들 몇 가지만 추려본다.




일제강점기 당시 경성역으로 사용되었던 서울역 구 역사

대한의원, 일본 건축소 기사 야바시 겐키치가 설계하였다. 총독부의원과 경성제국대학 부속병원을 거쳐 현재 서울대병원 의학박물관

경성부청이었던 서울시청 구 청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기습 철거를 감행하였으나 문화재청에 적발되어 실패하였다. 現 서울도서관

일제 수탈의 도구로 사용되었던 조선은행으로 사용된 한국은행 화폐박물관

천일은행 광통관. 현재 우리은행 종로지점으로, 근대 건축물로는 드물게 본래의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있는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 이전까지 공업전습소로 잘못 알려져왔던 건물. 

당시 최고법원이었던 경성재판소. 대법원을 거쳐 서울시립미술관으로 변쳔되었다. 현재는 껍데기만 남겨져 있다.

서대문 형무소. 수많은 애국열사 독립투사들이 이곳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다. 독일 나치군이 유대인을 집단학살했던 가스실이 있는 아우슈비츠 수용소의 동양판이라고 보면 될 듯


신세계 백화점 본점으로 사용되고 있는 미쓰코시 경성점 건물(왼쪽)

스탠다드 차타드(SC제일은행) 명동점으로 쓰이고 있는 조선저축은행(오른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