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천문학2025. 2. 5. 16:50
현상/천문학2024. 9. 3. 23:36
현상/천문학2024. 7. 31. 09:56
NASA에서 컴퓨터 그래픽으로 제작한 M87 블랙홀의 모습 블랙홀(Black hole)은 표면적이 0인 점으로 무한히 수축하는 천체를 말한다. 특이점을 중심으로 사건의 지평선을 형성하다 보니 암흑의 구체로 보여서 블랙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펜로즈의 특이점 정리에 따르면 블랙홀은 중력으로 완전히 붕괴되어 크기가 0이고 밀도와 시공간의 곡률이 무한대가 된 천체이다. 특이점 정리의 반례는 발견된 적 없기에 오늘날에도 블랙홀은 잠정적으로는 크기가 0인 천체 취급을 받고 있다.
현상/천문학2024. 7. 19. 23:00
1 태양 (지금의 약 70%의 광도) 2 수성 (행성을 보호해 줄 대기가 희박해서 운석한테 다굴당하고 이로 인한 균열로 화산 파티) 3 금성 (생명이 서식할 수 있을것 같은 오늘날의 지구와 유사한 환경) 4 지구 (바다만 있고 대기는 붉은 빛) 5 화성 (금성과 비슷, 지표면의 80%가 바다) 6 파에톤 (지금은 사라진 고대 원시 행성, 화성과 목성 사이에 존재했음) 7 목성 (거대한 고리, 수많은 고대 행성과 소행성을 잡아먹은 흔적) 8 토성 (고리가 없는 가스 행성) 9 천왕성 (지금에 비해 반듯한 자전축) 10 해왕성 (지금에 비해 규모가 큰 고리)
현상/천문학2024. 5. 21. 09:26
펄서라는 것은 짧고 규칙적인 신호를 보내는 전파 천체로 강한 자기장 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회1전을 하는 중성자별 (초신성의 중심핵이 붕괴할 때 중심핵의 밀도가 엄청나게 증가하는데, 이때 중성자 압력이 증가하여 멈추면서 중성자별이 탄생한다. 만일 중 심핵의 질량이 태양의 질량보다 두 배 정도 되면 중심핵은 중성자별대 신블랙홀이됨) 이 별은 00033-3츠의 값을 가지고 펄상 전파를 방사하는데, 자전도 하고 질량은 태양과 같지만 지름은 10km( 대부분 50km미만)로 매우 작은 별입니다. 따라서 초고속으로 자전하기 때문에 펄스파를 방출합니다. 티스푼 한스푼만한 양이 수십억톤이 넘는 초 고밀도의 물질 펄서의 자전주기는 01~ 10 총 빠른 것은 01 츠에 한번씩 즉 분당 600 번 이상을 회전, 드릴보다 ..
현상/천문학2024. 1. 22. 15:11
우주가 탄생한 지 불과 4억 년 후 형성된 초기 우주의 거대 질량 블랙홀이 관측됐다.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을만큼 빠른 속도로 성장해 블랙홀 형성 이론을 수정해야 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로베르토 마이올리노 영국 케임브리지대 카블리 우주론 연구소 교수가 이끈 연구팀은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을 통해 약 130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 거대질량 블랙홀을 발견했다고 17일(현지시간)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63416 130억년 전 생성된 초거대 블랙홀 발견…"기존 이론으론 설명 안돼"빅뱅 4억 년 후 초기 우주에서 형성된 블랙홀이 관측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우주가 탄생한 지 불과 4억 년 후 형성된 초기 우..
현상/천문학2024. 1. 2. 20:36
현상/천문학2024. 1. 1. 11:55
우주 초기에 탄생한 고대 은하에서 복잡한 유기분자가 발견됐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과 중력렌즈 효과를 이용한 이번 관측으로 초기 우주 은하 탄생의 비밀이 일부 벗겨질 것으로 학계는 기대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을 운용하는 미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 공동 연구팀은 5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우주 탄생 약 15억 년 만에 생성된 은하에서 검출한 유기분자를 소개했다. 연구팀이 관측한 은하는 'SPT0418-47'이다. 유럽남천천문대(ESO)가 세계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 알마(ALMA)를 활용해 2020년 처음 포착한 은하다. 지구에서 약 120억 광년 떨어진 'SPT0418-47'은 초기 우주에 탄생한 은하로 형태는 우리은하와 비슷하다.
현상/천문학2023. 12. 11. 17:06
1 최근 과학계는 도저히 설명이 불가능한 이상한 입자를 발견하게 됨 2 이론상으로 1g만으로도 지구를 파괴할 강력한 입자라는 것. 현대 물리학의 범주를 완전히 벗어나 크게 화제가 된 상태. 아마테라스 입자는 244Eev인데 아마테라스 입자를 함께 발견한 박일흥 성균관대 교수는 우주에는 강력한 우주선을 내뿜는 초신성 폭발이나 감마선 폭발(GRB) 같은 현상이 있지만 이때 나오는 입자도 50EeV를 넘을 수 없어서 아마테라스 입자는 기존 이론상으론 존재할 수 없는 입자라고 말함.. 초고압에너지는 인간이 만든 입자가속기에서 도달할 수 있는 에너지보다 약 100만 배 강력한 수준인 1EeV 이상의 아원자 하전 입자가 우주에서 날아오는 것을 말한다... 3 모든 것이 미스테리이고 어디서 왔는지 알고 싶어도 역추적..
현상/천문학2023. 11. 25. 17:50
우주비행선은 아니고 우주광선이라는 아마테라스라고함 아마테라스가 날아온 방향에는 근원 은하나 잠재적 출처가 될만한 다른 알려진 천체가 전혀 없었다며 우주선이 온 방향은 우주 거대 구조에서 은하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빈 공간 영역(Local Void)을 가리키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
오늘 :
어제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