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스툰 비문


아카드어 (lišānum akkadītum)는 셈어파이며 고대 메소포타미아 특히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들에서 쓰였다.(아시로-바빌로니아어이라 불린다.). 최초의 검증된 셈어파의 언어인 그것은 고대 수메르어에서 유래한 쐐기 문자를 사용하였다. 언어의 이름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주요 중심인 고대도시 아카드에서 유래하였다.

위키피디아







페르시아 제국의 비문들은 대개 3가지 쐐기문자들로 쓰였다. 즉, 당시의 페르시아인들이 고안한 인도-유럽어의 하나인 고대 페르시사어, 수사를 중심으로 BC 3100년경부터 쓰여 오던 엘람어, 그리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바빌론 제국과 앗시리아 제국의 언어였으며 셈어의 아주 오래된 형태였던 아카드어로 쓰였다.아카드어는 BC 2600년부터 메소포타미아를 중심으로 쓰이던 쐐기문자로서, 페르시아 제국이 바빌론 제국을 멸망시킨 후 자연스럽게 물려받은 당시의 ‘고전어’였다. 엘람어는 수사를 중심으로 특별히 궁중문서와 경제문서를 기록하기 위해 차용되었다. 지난 100년 동안 코코스(Caucaus)언어 또는 인도 남부의 드라비다어(Dravidian)와 연결시키려는 학자들의 주장이 있으나, 아직 결론 내지지 못한 상태이고, 오히려 수메르어(Sumerian)처럼 고립어(Languageisolate)라는 것이 더 정설이다.


 

다리오왕의 새긴 석비의 쐐기문자

이와 비교하여 고대 페르시아어가 인도-이란어(Indo-Iranian)의 한 분파라는 언어 구분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고대 페르시아 문자의 출현에 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월티 힌쯔(Walter Hinz)나 프란쯔 바이쓰바흐(Franz H. Weissabach) 등 독일 진영 학자들은, 다리오 대제 당시에 페르시아 문자가 고안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에 의하면 3개의 쐐기문자들로 쓰인 베히스툰 비문(뒤에 자세히 다루겠음)에서, 고대 페르시아 비문은 가장 나중에 첨가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베히스툰 비문의 70번째 단락은 새로운 문자의 고안, 즉 고대 페르시아어를 고안한 내용이라고 주장한다.


네번째 왕 - 지평선의 순례자 http://m.blog.daum.net/fourthking/17516095

성경과 페르시아 - 베이스툰 석비 [다리우스 1세]

 

출처 : love4youkr님의 블로그 | 스카이

원문 : http://blog.naver.com/love4youkr/70001526079




Poema de Gilgamesh

아카드어로된 길가메시 서사시의 델루게의 점토판


아카드어
lišānum akkadītum
사용 국가초기 아카드 (중앙 메소포타미아); 중동과 이집트, 후기청동기 와 초기 철기 시대.
사용 지역메소포타미아
사멸기원전 100년경
문자쐐기 문자
언어 계통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동셈어군
   아카드어
언어 부호
ISO 639-1
ISO 639-2akk
ISO 639-3akk






변종

아카드어는 지리와 시대에 따라 여러 변종으로 나뉜다[1].

고 아카드어
기원전 2500년대 – 기원전 1950년
고 바빌로니아어/고 아시리아어 
기원전 1950년대 – 기원전 1530년
중기 바빌로니아어/중기 아시리아어 
기원전 1530년대 – 기원전 1000년
신 바빌로니아어/신아시리아어 
기원전 1000년대 – 기원전 600년
후기 아시리아어 
기원전 600년대 – 기원전 100년

바빌로니아어와 아시리아어도 시대가 내려갈수록 아람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최종적으로는 아람어에 압도되어 아카드어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기록 체계

아카드 문자는 쐐기 문자를 사용하는데 수메르인들에 의해 고안되었고 젖은 점토판에 쐐기를 사용하여 부호를 기록한다. 아카드 문자에 채용되었된 쐐기 문자는 다음을 표현할 수 있다.

  1. 수메르어
  2. 수메르어 음절
  3. 아카드어 음절
  4. 음운 보어

설형문자는 여러가지로 아카드어에 적합하지 않았다. 결점 중에는 셈어의 중요한 음을 나타낼 수 없었다.

음성학

  • 자음:b p d t ṭ š z s ṣ l g k q ḫ m n r w y.
양순음치음구개음연구개(Velar)연구개(Uvular)
평음강조음평음강조음
비음mn
파열음p bt d <>k g
마찰음v <w>s z <>ʃ <š>χ <>
로틱(r)r
접근음lj <y>
  • 모음:a, e, i, u, ā, ē, ī, ū

모음은 4가지로서, 단모음과 장모음이 있다.


문법

아카드어는 셈어파로 그 문법적 특색은 아랍어와 비슷하다. 두가지 문법적인 성(남성형과 여성형)을 지닌다.

어간와 학명 그리고 동사parāsum (어근 PRS: '결정하다, 구분하다, 분리하다')의 3인칭 남성 단수의 예가 아래와 같다. :

 아래의 문단에 한국어로 번역되지 않은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번역되지 않은 부분은 번역을 마치거나 삭제해주어야 합니다.

This section needs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Untranslated parts of the section should be rewritten in Korean or eliminated. (2009년 4월 24일에 문단의 번역이 요청되었습니다.)

I.1Gparisthe simple stem, used for transitive and intransitive verbscorresponding to Arabic stem I (fa‘ala) and Hebrew qal
II.1Dpurrusgemination of the second radical, indicating the intensivecorresponding to Arabic stem II (fa‘‘ala) and Hebrew pi‘el
III.1Ššuprusš-preformative, indicating the causativecorresponding to Arabic stem IV (’af‘ala) and Hebrew hiph‘il
IV.1Nnaprusn-preformative, indicating the reflexive/passivecorresponding to Arabic stem VII (infa‘ala) and Hebrew niph‘al
I.2Gtpitrussimple stem with t-infix after first radical, indicating reciprocal or reflexivecorresponding to Arabic stem VIII (ifta‘ala) and Aramaic ’ithpe‘al
II.2Dtputarrusdoubled second radical preceded by infixed t, indicating intensive reflexivecorresponding to Arabic stem V (tafa‘‘ala) and Hebrew hithpa‘el
III.2Štšutaprusš-preformative with t-infix, indicating reflexive causativecorresponding to Arabic stem X (istaf‘ala) and Aramaic ’ittaph‘al
IV.2Ntitaprus
I.3Gtnpitarrussimple stem with tan-infix after first radical
II.3Dtnputarrusdoubled second radical preceded by tan-infix
III.3Štnš-preformative with tan-infix
IV.3Ntnitaprusn-preformative with tan-infix

아카드어 동사는 보통 3자음근을 보지만 둘 또는 넷의 자음근을 지닌 약간의 근들도 존재한다. 세 가지 시제가 있는데 현재형, 과거형(preterite), 미래형(permansive)이 있다.

현재 시제는 미완의 활동을 과거시제는 완료된 활동 미래시제는 상태나 조건을 표현하며 대개 입자를 취한다.

아카드어는 아랍어와는 달리 주로 일정한 복수를 지니지만 약간의 남성형 단어는 여성형 복수를 취한다. 그점에서 그것은 히브리어와 비슷하다.


어순

아카드의 문장의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형)이며 그것은 아랍어와 히브리어와 같은 대부분의 다른 고대 셈어족과 달랐다. 아랍어나 히브리어는 동사-주어-목적어(VSO형)의 순서를 지닌다. 현대의 남셈계 에티오피아어도 SOV형의 순서를 지닌다. 그러나 이들은 역사 시대에 고전적인 주동목(SVO형) 언어인 게에즈어를 개발하였다.

이들 단어 순서는 수메르어의 영향의 결과로 가정되는데, 그것도 SOV형의 순서이다.

두 언어의 원어민이 가깝게 언어적으로 접촉하였으며 적어도 500년간 하나의 사회를 형성하였다는 증거가 있다.



Opiniones de Inscripción de Behistún




악메다 궁, 엑바타나 (Ecbatana, 고레스 칙령이 발견된 곳, 이란) 

크세르세스왕(아하수에로왕, 좌)간지나메 다리우스왕(우) 석비 (출처- http://blog.daum.net/kiydoll/151)

간지나메(보물책)의 쐐기문자 (출처-http://blog.daum.net/youngeul/263)



쏘개문자로 파여 있다.




페르시아 왕들의 무덤           (출처- http://withjuhyang.com/bbs/)

 

페르세폴리스에서 약6km떨어진 곳에 위치해있다. 좌측으로부터 아닥사스다, 아하수에로, 다리오1세, 다리오2세의 무덤이다. 페르시아의 왕들의 계보는 고레스-캄비세스-스멜디스-다리오1세-아하수에로(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1세-다리오2세-악사스다2세-다리오3세이다.



다리오 1세의 묘실.jpg

반응형

'기억보관소 > 사멸한 언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이집트어  (0) 2017.05.30
몽골 문자 몽고어  (0) 2017.04.20
유럽 로마자 라틴어  (0) 2017.02.10
이스라엘 유대인 히브리어  (0) 2017.01.20
중국 티베트 서장 藏족 토번인 티벳어  (0) 2017.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