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표적으로 거미와 전갈이 협각류라 이것들과 더 가까운 친척이라고...
적어도 가재와 전갈은 같은 분류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던게 신기함
그럼 얘네들이 그렇게나 오랜 시간동안 진화없이 생존할수있었던 비밀은 바로 바로 이넘들의 피 인데
단백질 이름 따위는 어짜피 안궁금하지? (coagulogen 이라는 단백질이라는데 난 무식해서 뭔지 모르겠다)
그래서 이놈의 푸른 피를 이용해서 신약을 연구하는데 많이 쓰인데 (구체적으로는 테스트하는데 쓴다고 함 )
이놈의 피 가격은? 리터당 15000달러정도에 팔린다고 한다
존나 비싸노.. 당연히 생피는 아니고 가공을 거친거겠지??
일년에 대략 50만 마리가 피가 뽑히고
뽑이는 과정에서 20%정도는 뒤짐.
동물은 빨간색
곤충은 노란색
각류는 파란색
달팽이, 지렁이 등은 초록색
땅콩벌레, 꼬추벌레 등은 보라색
저렇게 요리도 해먹고 피도뽑아다가 활용하는데 멸종위기종이라고함... 그래서 이 피를 쓰지 않고 다른방법으로 테스트할 방도를 모색하는 중이라고..
그리고 투구게 에서 피 한번 뽑고 죽이는게 아니라 피뽑고 바다에다가 내버림.
그니까 투구게 잡아다가 피뽑고 다시 내버리는데 똑같은놈한태 또 뽑지 않고 1년에 한번씩만 뽑을 수 있도록
원래 잡은위치에서 한참 먼 곳에다가 내버린다고 함
눈깔로 바닥을 보기 위해서 그런건가? 먹잇감이 바닥에 있으니..
발 사이에 있는게 입이다
눈까리는 뚜껑위에 있음
안에 보이는게 알이다
이넘들의 수명은 20~40년이나 되고
10살쯤 되면 짝짓기가 가능해진다.
이넘들의 수명은 20~40년이나 되고
10살쯤 되면 짝짓기가 가능해진다.
반응형
'위기안내소 > 멸종위험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부짧은꼬리땃쥐 (0) | 2020.07.09 |
---|---|
멸종 위기종 위험군 동물 (0) | 2018.11.30 |
고기잡이괭이, 멸종위기 작은 고양이 Fishing Cat (0) | 2017.12.11 |
[희귀] 사올라 Saola (0) | 2017.08.20 |
[희귀] 수마트라 문착 Sumatran Muntjac (0) | 2017.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