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우주2023. 6. 6. 23:13
화성은 태양계의 네 번째 행성이다. 산화철로 인한 붉은 빛이 감도는 사막 지형을 가지고 있다. 지구를 제외한 태양계 내 모든 행성 중 표면 탐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행성이며, 물의 존재가 확인되고 테라포밍의 가능성이 점쳐지는 등 인류 문명의 우주 개발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여겨지는 천체이다. 화성 표면에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이 과거부터 논의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화성에서 생명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애초에 표면온도도 평균수치가 지구의 남극 수준으로 낮은데다가 대기도 희박하고 태양풍을 막아주는 행성의 자기장도 약해서 고등 생명체가 살기에는 여전히 혹독한 환경이고, 생명체가 만약 존재한다고 쳐도 미생물정도일 것이다.
여행/우주2023. 6. 5. 23:08
지구의 위성이자 태양계의 가장 안쪽에 있는 위성[3]이며, 자전주기는 약 27.321582일, 공전주기도 약 27.321582일(이는 항성월 기준으로 삭망월 기준으로 본다면 공전주기는 대략 29.5일). 달 표면에서의 하루의 길이는 29.530589일. 표면 온도는 최저 -233도/최대 123도[4] 지구에서 가장 관측이 쉬운 천체다.[5] 겉보기 등급은 -2.5 에서 보름달일 때는 -12.9 가량으로 달이 차고 기우는 것에 따라 변한다.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의 위성을 달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엄밀하게 표준어는 아니다.[6] 반면에 영어에서 moon은 지구의 위성 외 일반적인 위성도 가리킨다.[7] 달 외에 최초로 관측된 위성은 1610년 발견된 갈릴레이 위성으로 서구에서는 위성의 개념이 오래 전에 형..
여행/우주2023. 6. 4. 23:02
지구(地球, Earth)는 태양으로부터 세 번째 궤도를 도는 행성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생명체가 탄생하고 서식하는 유일한 천체이며 인류가 살아가는 곳이기도 하다.
여행/우주2023. 6. 3. 22:58
금성은 태양계의 두번째 행성이다.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는 천체 중에서 3번째로 밝은데, 첫 번째는 태양, 두 번째는 달이다. 지구에서 관측되는 이미지는 아름답지만, 실제로는 무시무시한 고온, 고압, 부식성 대기 등의 극한 환경을 가진 행성이다.
여행/우주2023. 6. 2. 22:55
수성은 태양계의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천체이다. 태양계 모형만 보면 감이 잘 오지 않겠지만, 가장 가깝다는 태양과 수성 사이의 거리는 태양 지름의 약 41배나 된다.
여행/우주2023. 6. 1. 22:45
태양은 태양계의 중심에 존재하는 항성으로 태양계에서 유일한 별(항성)이자 모든 에너지의 근원이다. 태양이 있기에 지구에 낮과 밤의 구분, 사계절과 기후 더 나아가 생명이 존재할 수 있다. 의외로 우리 은하에서 꽤 적은 숫자에 속하는 G형 주계열성으로, 덕분에 4광년 떨어진 알파 센타우리에서도 태양은 맨눈으로도 아주 잘 보인다.
여행/우주2019. 10. 31. 05:56
이름 한 번 되게 긴 이놈은 중간 사이즈의 블랙홀인데 이름그대로 검은 구멍 처럼 생겼어 빛 조차 못 빠져나와서 아무것도 보이지가 않아서 검은 색인데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주변의 빛이 휘어지는 걸로 관찰할 수 있다 이기야! 중력 렌즈효과가 잘 안보인다고?? 그럼 어두운 우주배경 말고 밝은 걸로 한번 빛을 휘어보자 이건 블랙홀의 친구 호두별인데 왕년엔 사이 좋은 노 부부였는데 한명이 노짱따라가면서 블랙홀로 변해 버렸다 이기야 이렇게 엄청나게 큰 적색거성이 노짱따라가면 자기 중력을 못이기고 블랙홀이 돼 버려. 이놈도 언젠간 블랙홀이 돼서 다시 사이좋은 블랙홀 부부가 되겠지? 하지만 지금은 블랙홀로 호두별을 으깨버릴 거야! 안심하라구! 실제로 으깨는게 아니라 빛만 으깰 거니까 호두별과 블랙홀이 겹친 모습. 블..
여행/우주2019. 9. 30. 05:47
이렇게 사진으로 보니 방금 씹멸치 은하보다도 작아 보이네??? 그냥 별 같아 보이기도 하고?? 씹멸치은하를 1미터 거리에서 찍었다면 이 새끼는 1 키로미터 거리에서 찍은 거임 저 밝은 부분이 사실 전부 별들이고 가운데 제일 밝은 곳은 그 중에서도 밀도가 오지는 곳이야 이 씹파오후 은하는 별들이 400조개 정도 된다고 알려 졌는데 밝기도 우리 은하보다도 수백만 배 밝은 우주 일진 은하야 우리 은하와 한 120억 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존나 머노 여기에 김종대가 두고 온 개념도 있다 이기야 고럼 ㅎㅎ 속살을 한번 봐야지 안컷써? 파오후은하의 정 중앙이다. 그냥 저 모든 점이 전부 별이다~ 라고 보면 된다. 존나 큰 밤하늘의 아주 작은 일부분일 뿐이다 이기 저렇게 사방에 깔려 있다. 보통 우리 밤하늘은 ..
여행/우주2019. 8. 31. 05:43
여기는 성운처럼 생겼지만 사실 은하야. 크기가 너무 작아 왜소 은하로 분류된 멸치 은하야 물음표처럼 생긴게 특징이다. 후크선장 갈고리 같기도 하네 이건 멸치중에서도 제일 작은 씹멸치은하인데 보통 은하는 평균적으로 약 2,000억 개의 항성을 지니고 있지만 이 멸치 은하는 기껏해야 1억개 정도 밖에 없어 기껏해야 1억 이라는 표현이 웃긴데 우주스케일 생각하면 우리은하의 2,000분의 1 수준이니 왜소하다고 볼 수 있지 그럼 반대로 씹파오후 은하는 뭐가 있을까? [출처] 우주의 기괴한 장소들을 탐험해 보자(현타주의) [링크] http://www.ilbe.com/10156458106
여행/우주2019. 5. 31. 05:31
방금 전은 다중성계를 행성 표면에서 봤고 이번엔 우주 공간에서 본 쌍성계야 비슷해서 다섯 번째 탐험지 가기 전에 살짝 들렸다 이기 요렇게 각기 다른 종류의 태양들이 사이좋게 붙어있다 이기야. 강강수월래 춤추는 걸 좋아한다. 더우니까 대충보고 후딱 가자 이기 [출처] 우주의 기괴한 장소들을 탐험해 보자(현타주의) [링크] http://www.ilbe.com/10156458106
전체 :
오늘 :
어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