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
이는 정의역이 자연수인 함수와 같다.
급수
극한
이 존재하면 수렴, 아니면 발산
증가수열과 감소수열을 단조수열이라 한다
증명법
증가수열은
감소수열은
이 성립함을 보이면 된다.
n≥1인 모든 n에 대해
an<M을 만족하는 수 M이 존재하면, 수열 an은 위로 유계
an>m을 만족하는 수 m이 존재하면, 수열 an은 아래로 유계
위로 유계인 동시에 아래로 유계인 수열은 유계수열이라 한다.
그러나 유계수열이 반드시 수렴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an=(-1)^n은 -1≤an≤1을 만족하는 유계수열이지만 수렴하지는 않는다.
유계인 수열 중 진동하지 않는 수열. 즉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단조수열은 모두 수렴한다.
절대 수렴
이 수렴할 때, 는 절대수렴
조건부 수렴
이 수렴하지만 절대수렴하지 않을 때
p-series 판정법
위의 시리즈를 p급수라 한다.
p>1이면 수렴, p≤1이면 발산
적분판정법
f:[1,∞)에서 연속이고 양의 값을 갖는 감소함수이며 an=f(n)
이때 급수 [n=1→∞]Σan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k≥1인 자연수일 때, 다음을 만족한다.
가 수렴하면 도 수렴
가 발산하면 도 발산
형태가 안 보이는 경우 함수로 변환하여 미분 등의 연산을 시도해봐야 한다.
과 의 각 항이 모두 양수일 때
이 수렴하고, 모든 에 대해 이면 도 수렴
이 발산하고, 모든 에 대해 이면 도 발산
적용
수열에 삼각함수가 붙어있는경우 sin&cos값이 1이하인 성질을 이용한다.
꼴인 경우
k≥3일 때 lnk>1이므로
그런데
는 발산한다!
따라서 Σlnk/k도 발산한다.
꼴인 경우 (a,b,c,d 양수)
이므로
p급수 판정법에 의해 수렴
따라서 원제 급수 또한 수렴
꼴의 경우
로 설정하여 위 관계식에 대입
복잡한 구조일 경우 지배항으로만 구성된 비교수열을 만든다.
비판정법
이면 절대수렴
이면 발산
이면 판정불가
k!꼴이면 무조건 비판정법
꼴의 경우
이므로
의 경우
거듭제곱급수
x=a일 때만 수렴
모든 x에 대해 수렴
적당한 양수인 수렴 반지름 R 존재 |x-a|<R이면 수렴, |x-a|>R이면 발산
R>1일 때 위 거듭제곱급수로 정의된 함수는 구간 (a-R,a+R)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연속
이 함수에 미적분 연산을 하여 구한 거듭제곱급수의 수렴 반지름도 모두 R로 동일하다.
근판정법
이면 절대수렴
이면 발산
이면 결론 도출 불가
교대급수판정법
이 교대급수는 아래 두가지 조건을 만족하면 수렴한다.
1. 모든 n에 대해
2.
이 교대급수는 L에 한없이 가까워진다.
사실 2번 항목만 만족해도 수렴하는데, 이유는 극한이 0이면 계속 더할게 사라지기 때문
그러나 1/n은 예외다.
그러나 교대급수는 위와 상관없이 수렴한다.
교대급수추정정리
error\\ \int _{ 1 }^{ \infty }{ x{ e }^{ -{ x }^{ 2 } } } dx=-\frac { 1 }{ 2 } \int _{ -1 }^{ -\infty }{ { e }^{ t } } dt\\ \int _{ -1 }^{ -\infty }{ { e }^{ t } } dt=\int _{ 1 }^{ \infty }{ { e }^{ -t } } dt={ \left[ -{ e }^{ -t } \right] }_{ 1 }^{ \infty }\\ \int _{ 1 }^{ \infty }{ x{ e }^{ -{ x }^{ 2 } } } dx=\frac { 1 }{ 2 } { \left[ \frac { 1 }{ { e }^{ t } } \right] }_{ 1 }^{ \infty }=-\frac { 1 }{ 2e } \\ \int _{ -1 }^{ -\infty }{ { e }^{ t } } dt={ \left[ { e }^{ t } \right] }_{ -1 }^{ -\infty }\\ \int _{ 1 }^{ \infty }{ { e }^{ -t } } dt={ \left[ \frac { 1 }{ { e }^{ t } } \right] }_{ 1 }^{ \infty }\\ \int _{ -1 }^{ -\infty }{ { e }^{ t } } dt=\int _{ 1 }^{ \infty }{ -{ e }^{ t } } dt\\ \int _{ -1 }^{ -\infty }{ { e }^{ t } } dt\neq \int _{ 1 }^{ \infty }{ { e }^{ -t } } dt
'수학 > 미적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변수 편미분 전미분 경사도 (0) | 2017.11.01 |
---|---|
함수의 거듭제곱 급수화 공식 및 유도 증명 (0) | 2017.10.23 |
선형근사와 미분 (0) | 2017.08.28 |
역삼각 도함수 구하기 (0) | 2017.03.01 |
역함수 미분법 증명 (0) | 2017.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