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신
사방
사계절
사색
오좌(五佐)
오행
청룡
동 (東)
봄
청색
구망(句芒)
木
주작
남 (南)
여름
적색
축융(祝融)
火
백호
서 (西)
가을
백색
욕수(蓐收)
金
현무
북 (北)
겨울
흑색
현명(玄冥)
水
사신(四神)은 동서남북의 방위를 다스리는 청룡, 백호, 주작, 현무 4마리의 영수(靈獸)을 통칭하는 말이다. 사수(四獸), 사상(四象)이라고도 부른다.
상세
회남자(淮南子) 등에 의하면 동서남북을 다스리는 역할과 함께 계절신으로서 오좌(五佐) 중 사좌(四佐)를 맡고 있다.
이 사신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석상을 사신상이라고 한다. 그 밖에 서수(瑞獸 상서로운 동물)의 사령인 기린, 봉황, 영귀, 응룡 4마리를 사신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중앙에 황룡과 기린이 있다는 말이 있는데 명백한 근거가 부족한 말이다. 아무래도 오행 중 나무(木), 불(火), 쇠(金), 물(水) 거기에 4가지 색(오방색)과 사신의 색상과 속성(?)이 얼추 맞아 떨어져서 흙(土)에 넣을 것을 찾았던 모양인데, 원래 오행에는 그것을 상징하는 동물이 없었다고 한다. 굳이 있다면 인간이다.
다만 중앙의 황룡은 완전한 형태의 사방신을 언급하는 문헌들 중 저작 시기가 가장 오래된 회남자(淮南子)에서 사방신과 함께 중앙의 황룡을 분명히 언급하고 있으므로 황룡의 존재 자체가 근본이 없는 것은 아니다. 애초에 회남자에서 언급되기 전의 시기에 완전한 형태의 사방신이 성립되었는지, 성립되었더라도 각각에게 색이 부여되어 있었는지도 확실하지 않다. 사방신이 어느 시기에 지금과 같은 형태로 완성되었는지는 학계의 의견도 분분하다. 또한 후대로 오면서 황룡은 다른 동물로 대체되는 경향도 보이는데 곰, 두꺼비, 뱀(혹은 이무기), 기린이 그것이다.
중앙이 두꺼비, 뱀이라는 개념에서는 두 종류로 나뉘는데 구진(句陳)과 등사(螣蛇)가 있어 총 6신이 되기도 한다.
풍수상으로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를 뜻하며 좌청룡 우백호라는 말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 하늘의 형상이 땅에도 반영된다는 전제에 따른 것. 하늘의 북극성이 왕이기 때문에 왕(북극성) 입장에서는 아랫 것들은 전부 남향이다. 물론 풍수상으로는 남향을 해야 햇볕을 받는다는 현실적인 요소도 함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징 체계 때문에 궁궐 남쪽으로 주작대로를 내며 왕은 북쪽에 앉아 남쪽을 바라본다. 남면(남쪽을 바라봄)은 군주 자리를 가리키는 말로 비유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탓인지 사신 중 우두머리이자 으뜸은 중앙이 별도로 없다면, 혹은 있다고 하더라도 북쪽을 다스리는 현무로 주로 나온다.
넷이라는 적은 숫자에서 오는 임팩트 때문인지 같은 동양 쪽 사상인 십이지보다 많이 쓰이는 편이다. 또한 이들 4마리의 영수는 재미있게도 서양 쪽 사상인 묵시록의 4기사와 색 배합이 같기도 하다.
사족으로 사신과 비슷한 개념으로 도교에서는 4개의 바다를 다스린다는 '사룡'이라는 용왕들이 있다.
동방청룡(동해용왕): 광덕왕(廣徳王), 오광(敖廣)
서방백룡(서해용왕): 광순왕(廣順王), 오윤(敖閏)
남방적룡(남해용왕): 광리왕(廣利王), 오흠(敖欽)
북방흑룡(북해용왕): 광택왕(廣澤王), 오순(敖順)
도교와 자주 엮이지만 사신의 유래는 불분명하다.
'창작 > 몬스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퀘이크 4 Quake IV 스트로그 Strogg (0) | 2025.02.12 |
---|---|
퀘이크 2 Quake II 스트로그 Strogg (0) | 2025.02.12 |
종양거미 분열증 Tumor Spider Division Disease (0) | 2025.01.21 |
둠 DOOM 3 악마괴물 Demonster (0) | 2025.01.07 |
경성크리처 옹성병원 생체실험괴물 (1)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