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의학 Psychiatry Medicine

2024. 10. 19. 22:43

시간여행가 책/전공서적
반응형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기타
  • 쪽수/무게/크기
    634쪽0g188*258*35mm
  • ISBN
    9788961307147

책 소개

의대생 및 젊은 일반의/타과 선생님들이 부담 없이 빠른 시간 안에 정신과학의 기초를 예습/복습할 수 있도록 도운 교재다. 2013년 APA(미국정신과학회)에서 기존의 DSM-Ⅳ-TR을 개정한 DSM-5를 발표하였습니다. 앞으로는 이 진단체계에 맞춰 정신과 질환이 진단, 연국되어질 것입니다. 이에 개정판에서는 이를 모두 반영하여 책 내용을 대폭 개정하였다. 또한 의대생 및 일반의 수준에서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핵심내용을 압축하여 수록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정신과학은 의과대학생의 입장에서 참 난해하고 또 공부하기 까다로운 과목으로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 등 주요 임상과목을 공부할 때는 그래도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병리학, 미생물학, 약리학 등을 공부하고 실습하며 습득한 의학용어와 사고방식에 어느 정도는 익숙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방대하고 난해한 내용을 헤쳐 나가면서도 촉박한 시간이나 자신의 노력과 끈기 부족에 좌절할 수는 있지만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해야 하는 공부를 하고 있는 것은 맞는지, 내가 읽고 있는 것을 맞게 이해하고는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그렇게 자주 들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정신과는 어떤가요? 20년 넘게 살아오면서 수도 없이 들었던, 어쩌면 의학용어보다 더 친숙해야 할 용어들인 생각, 감정, 행동, 인격, 불안, 우울 등의 단어들로 가득 차 있어서 술술 읽혀야 할 것 같은 교과서가, 막상 혼자 펼쳐 놓고 보면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 가는 경험을 혹시 하고 있지는 않나요? 수업시간엔 유달리 인자하신 교수님들의 목소리에 취해 숙면을 취한 기억밖에, 실습 중에는 열심히 환자들과 병동에서 탁구를 친 기억밖에 없는데 막상 시험이 코앞이 되어 공부해보려고 책을 펼치면 아무리 읽어도 그 말이 그 말 같고 정리가 안 되고 뭔가 복잡하죠. 의사가 되어 사람을 살리는 데 얼핏 보기에는 관련도 없어 보이는 내용을 공부할 필요가 뭐가 있나 짜증을 내보기도 하지만, 학교 시험에서의 학점도, 의사국가시험에서의 비중도, 4대 과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포기할 수는 없어서 막상 통으로 포기하지는 못하고 울며 겨자 먹기로 겨우 기출문제나 간신히 훑어보고 말게 됩니다. 그런데 본의 아니게 교육병원 밖의 가혹한 야전의료 환경에 기대보다 일찍 내던져지고 나면 막상 일차 진료에서 정신과적 능력이 생각했던 것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절감하고 때늦게 교과서를 뒤적거리기도 합니다. 전공의선발시험에서도 병원에 따라서는 4대 과목 뿐 아니라 정신과 시험도 쳐야 하는 경우가 있고, 전공의로 근무하다 보면 정신과에 자문을 하게 될 일도 생각했던 것보다는 자주 있지요.
이 책은 바로 그런 막막한 심정의 의대생 및 젊은 일반의/타과 선생님들이 부담 없이 빠른 시간 안에 학생 수준 범위에 해당하는 정신과학의 기초를 예습/복습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점에 주안점을 두고 엮었습니다.

1. DSM-5를 반영
2013년 APA(미국정신과학회)에서 기존의 DSM-Ⅳ-TR을 개정한 DSM-5를 발표하였습니다. 앞으로는 이 진단체계에 맞춰 정신과 질환이 진단, 연국되어질 것입니다. 이에 금번 개정판에 이를 모두 반영하여 책 내용을 대폭 개정하였습니다.

2. 의대생 및 일반의 수준에서도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핵심내용을 압축
양대 한글판 교과서인 신경정신의학회 편 신경정신의학 2판과, 민성길 선생님의 최신정신의학 5판의 내용을 중심으로 의과대학생이나 일반의가 꼭 알았으면 하는, 임상적 중요성이 있는 내용들을 재구성했습니다. 또한 그중에서도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핵심사항들은 밑줄로 강조하거나 표, 박스 등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의사국가시험 및 전공의선발시험에 관련된 내용들과 함께 의과대학의 실습 또는 시험에서 중요할 가능성이 있는 내용도 표시되어 있어 목적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을 돕도록 하였습니다.
3. 특별한 도움 없이 혼자서 능률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구성
중요내용의 요약만 되어 있는 책이라면 이미 다 이해한 내용을 복습할 때는 쓸 수 있지만 이해조차 가지 않은 내용을 그냥 꾸역꾸역 외우는 건 너무 팍팍하죠. 이 책은 상세한 요약정리집이기보다는 기본적 내용 위주로 쉽게 풀어쓴 해설서나 입문서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이해를 돕기 위한 보충설명을 빼면 내용의 분량 자체는 막상 그다지 많지 않아 비교적 빠른 속도로 훑어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집중하지 못하고 놓친 강의에 해당하는 부분도 막막하지 않게 공부할 수 있도록, 혼동하기 쉬운 핵심개념이나 기본사항들을 상세하게 해설하였고, 각 단원의 서두에 공부를 시작할 때 참고할 사항을 안내하였습니다. 용어는 대체로 학회편 교과서를 우선시했지만, 실제 KMLE 출제용어 및 책마다 다르게 쓰이는 용어나 개념들을 최대한 반영하여, 어떤 교과서를 가지고 공부해도 이 책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편집상 총론과 각론을 분리 구성하여 질환을 공부하며 연관된 기초지식이나 치료법을 같이 볼 수 있게 배려하였고, 공부하면서 연관된 다른 단원의 내용도 예습/복습이 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참고]란에는 정신과 전공의가 되고부터는 꼭 알아야 하는 내용을 일부 보충하여 정신과 의사로서의 진로에 관심이 있는 선생님들의 흥미유발 및 다소간의 심화/선행학습에도 신경 썼습니다.

4. 철저히 의대생의 눈높이와 주된 궁금증에 초점을 맞춘 설명과 질의응답
이 책은 막상 정신과에 몸담은 뒤에 열어 볼 수준도 아니고, 타 인접분야에서 참고할 목적의 책도 아닙니다. 따라서 철저하게 의대생의 눈높이와 관점에만 맞추어 모든 것을 설명했습니다. 전공의 때 보면 전공자에게는 설명이나 이해도 필요 없이 당연한 상식적 개념인데, 학생입장에서는 이해하거나 납득하기 어려워하며 답답해하는 것들이 참 많더군요. 사실 막상 정신과에 몸담은 이후에는 당연한 것으로 알고는 있지만 어떤 과정을 통해 익혔는지 돌이켜봐도 생각도 안 나고 설명해주려고 해도 난감해질 때가 많습니다. 한국어를 쓰는 사람이 무작정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친다고 해서 전달이 잘 되는 것은 아닌 것처럼 말이지요. 정신과 실습학생, 정신과 전공의를 거친 지 얼마 되지 않은 필자는 아직 정신과 공부의 가장 기초를 닦던 때의 막막함과 궁금증을 잊지 않은 채로 이 책을 정리했습니다. 여러 후배 선생님들께 받았던, 정신과 의사 입장에서는 엉뚱하거나 당돌한 (학생 입장에서는 당연한) 질문들도 참고했습니다.

필자의 얕은 지식과 경험 때문에 이 책의 내용이나 깊이는 이 책을 엮는 데 이용된 교과서 및 참고문헌들의 예고편일 뿐, 절대 교과서 대신이 아닙니다. 하지만 정신의학이라는 광활하면서도 낯선 나라에 갓 내려 길을 잃은 채, 지도에 해당하는 교과서조차 이해가 잘 가지 않아 헤매고 있는 후배 선생님들께, 이 책을 통해 적어도 그 지도의 간단한 해독요령, 생존에 꼭 필요한 그 나라의 초급회화, 그리고 몇몇 요충지로 가는 약도는 제공해 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출판사 서평 더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1 정신의학의 개념 및 역사 _11



1.1정신의학의 개념 11

1.2고대 이집트로부터 중세 및 르네상스까지 13

1.3고전주의 시대의 정신의학 17

1.4생물정신의학의 태동 17

1.5역동정신의학의 발달 18

1.6현대정신의학 20



2 정신장애의 신경생물학 _23



2.1뇌의 구조와 기능 23

2.2신경계의 구조 및 구성 24

2.3구조적 신경해부학 25

2.4기능적 신경해부학 29

2.5신경신호전달 32

2.6신경전달물질 33

2.7정신신경내분비학 39

2.8정신신경면역학 40

2.9생물학적 리듬 41

2.10뇌의 발달 42

2.11정신장애 유전학 43



3 인간정신의 발달 _47



3.1삶의 주기 47

3.2정신의 구조와 기능 52

3.3인격의 발달 64



4 정신과적 증상 및 평가 _75



4.2정신병리 75

4.2증상론 77

4.3정신과적 면담 98

4.4정신병리 측정 척도 104



5 정신장애의 진단분류체계 _109



5.1정신과적 진단분류의 목적 109

5.2정신의학 진단분류의 특징 110

5.3진단분류의 유형 110

5.4기 타 113

5.5임상에서의 진단과정 114



6 정신과 임상검사 _117



6.1정신과 영역에서의 신체진찰 117

6.2정신과 영역에서의 검사실 검사 119

6.3정신과 영역에서의 뇌영상 검사 121

6.4신경생리학적 검사 122

6.5신경인지기능검사 122

6.6심리검사 126



7 정신사회심리적 치료 _131



7.1정신분석 131

7.2정신분석적 정신치료 140

7.3지지정신치료 142

7.4단기 역동정신치료 146

7.5집단정신치료 147

7.6가족치료와 부부치료 150

7.7행동치료 및 인지치료 153



8 약물치료 _159



8.1정신약물학 개요 159

8.2정형 항정신병약제 161

8.3비정형 항정신병 약제 165

8.4리튬 169

8.5항경련제 172

8.6삼환계 및 사환계 항우울제 176

8.7단가아민산화효소억제제 177

8.8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179

8.9기타 항우울제 182

8.10벤조디아제핀 184

8.11수면제 187

8.12기타 불안증상 조절 목적으로 쓰이는약물 188

8.13정신자극제 189

8.14인지기능 개선제 191



9 기타 생물학적 치료 _193



9.1전기경련요법 전기충격요법 193

9.2기타 뇌자극 치료 197

9.3정신외과수술 198

9.4수면박탈 및 광치료 199



10 노인정신의학 _201



10.1인간의 노화 201

10.2노인의 신체 201

10.3노인의 심리 202

10.4노인 환자의 진단시 고려할 점 205

10.5노인 환자의 약물치료 206

10.6노인 환자의 정신치료 207

10.7노인들에서 흔한 정신과적 문제들 208



11 소아/청소년 정신의학 _211



11.1소아정신장애의 원인 211

11.2소아정신과적 진단 213

11.3소아정신과 치료의 원칙 215

11.4성인기 정신장애의 소아기 발병 양상 218

11.5소아정신과적 응급 220



12 지역사회 정신의학 _223



12.1지역사회 정신의학의 개념 223

12.2지역사회 정신보건의 원칙 224

12.3지역사회 정신보건에서 정신과 의사가가져야 할 능력과 역할 225



13 법정신의학 _227



13.1비밀보장/비밀보호 특권 227

13.2민법/형법상 책임능력과 정신의학 228

13.3환자의 입/퇴원 절차와 정신보건법 231

13.4기타 환자의 기본권 제약과 정신보건법 234



각 론

1 우울장애&양극성 장애 및관련 질환 _239



1.1개념 및 용어 240

1.2주요우울장애 242

1.3지속성우울장애 257

1.4분열적기분조절장애 259

1.5월경전불쾌장애 260

1.6양극성 장애 Ⅰ형/Ⅱ형 261

1.7기분순환장애 274

1.8기타 기분장애 275



2 불안장애 _277



2.1불안장애 개요 277

2.2분리(이별)불안장애 280

2.3선택적 함구증 282

2.4특정공포증 283

2.5사회공포증 287

2.6공황장애 290

2.7광장공포증 296

2.8범불안장애 297

2.9기타 불안장애 301



3 강박 및 관련 장애 _303



3.1강박 및 관련 장애의 분류 303

3.2강박장애 304

3.3신체이형장애 310

3.4저장장애 313

3.5발모광 315

3.6표피박리장애 317

3.7기타 강박 및 관련장애 318



4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_319



4.1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의 분류 319

4.2반응성애착장애 319

4.3탈억제된사회활동장애 321

4.4외상후스트레스장애 322

4.5급성스트레스 장애 328

4.6적응장애 328

4.7기타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장애 331



5 해리장애 _333



5.1개 요 333

5.2해리성 주체 장애 334

5.3해리성 기억장애 337

5.4이인감/비현실감 장애 339

5.5기타 해리장애 340



6 신체 증상 및 관련 장애 _343



6.1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개요 343

6.2신체증상장애 345

6.3질병불안장애 349

6.4전환장애 352

6.5다른 의학적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요인 357

6.6가장성 장애 365

6.7꾀 병 367

6.8기타 신체증상 및 관련장애 369



7 섭식 및 식사 장애 _371



7.1개 요 371

7.2이식증, 반추장애, 회피/제한적 섭식장애 373

7.3신경성 식욕부진증 373

7.4신경성 대식증 379

7.5폭식장애 384

7.6기타 식사장애 385



8 배설장애 _387



8.1배설장애 387



9 수면-각성장애 _391



9.1정상 수면 391

9.2수면장애의 진단과 분류 400

9.3수면-각성장애 403

9.4호흡-관련 수면장애 409

9.5일주기리듬 수면-각성장애 412

9.6사건수면 413

9.7기타 수면-각성장애 418



10 성 및 성장애 _419



10.1개 요 419

10.2성기능 장애 421

10.3성별 불쾌감 429

10.4성도착장애 433



11 인격장애 _439



11.1개 념 439

11.2분 류 441

11.3인격장애와 다른 정신장애의 비교 442

11.4인격장애의 원인 444

11.5인격장애의 일반적인 치료 447

11.6A군 인격장애 448

11.7B군 인격장애 454

11.8C군 인격장애 463

11.9기타 인격장애 468



12 파괴적, 충동조절, 행실장애 _469



12.1개 요 469

12.2적대적 반항장애, 행실장애 470

12.3간헐적 폭발성 장애 474

12.4병적 방화 476

12.5병적 도벽 477



13 자살 및 난폭행동 _479



13.1자 살 479

13.2난폭행동 488



14 조현병 _493



14.1개념 및 역사 493

14.2역 학 495

14.3원 인 497

14.4임상양상 501

14.5진 단 505

14.6감별진단 506

14.7치 료 507

14.8경과 및 예후 510



15 망상장애 및 기타 정신병적장애 _513



15.1망상장애 513

15.2조현정동장애 517

15.3조현양상장애 518

15.4단기 정신병적 장애 520

15.5산후정신병 521

15.6기타 정신병적 장애 523



16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_525



16.1물질관련 장애 총론 525

16.2알코올 537

16.3진정, 수면, 항불안제 545

16.4정신자극제 547

16.5대마제제 549

16.6아편제제 550

16.7환각제 551

16.8펜사이클리딘(PCP)류 553

16.9흡입제 554

16.10니코틴 555

16.11카페인 556

16.12기 타 557



17 신경인지기능장애 _559



17.1인지기능장애의 개념과 분류 559

17.2섬 망 561

17.3신경인지기능장애 566



18 신체질환에 의한 정신장애 _581



18.1개요 및 분류 581

18.2신체질환에 의한 정신병적 장애 582

18.3신체질환에 의한 기분장애 584

18.4신체질환에 의한 불안장애 586

18.5신체질환에 의한 수면-각성장애 587

18.6신체질환에 의한 성기능장애 588

18.7신체질환에 의한 인격변화 589

18.8신체질환에 의한 긴장증 591

18.9각 신체질환의 주요 정신과적 증상 593



19 신경발달장애 _597



19.1지적장애 598

19.2의사소통장애 602

19.3자폐스펙트럼장애 607

19.4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612

19.5특정학습장애 616

19.6발달협응장애 618

19.7상동운동장애 620

19.8틱장애 62

의과대학에서 정신의학은 이른바 메이저 과목에 속합니다. 내외산소만큼은 아니더라도 학점 배정이 크고 상당한 시간을 들여 공부하는 과목입니다. 정신의학에 매력을 느껴 향후 정신과 전공을 희망하는 학생들도 많이 보입니다. 그런데 왜 성적은 생각만큼 잘 나오지 않는 걸까요?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주치의로서 환자를 직접 본 경험 없이 텍스트로만 정신의학을 공부해야 하는 현실적인 한계 때문일 것입니다. 정신과를 전공한 저자들도 돌이켜보면 학창 시절에 정신과 성적이 뛰어나게 좋았던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정신과에 들어와 환자를 실제로 열심히 보다 보니, 여러 가지 의학 지식 가운데 무엇이 더 중요하고 무엇이 덜 중요한지가 일목요연하게 다가왔습니다. 굳이 책상에 앉아 교과서를 펼쳐 놓고 공부를 하지 않아도, 힘들게 암기를 하지 않아도 임상 경험을 통해 지식은 저절로 체득되었습니다.

텍스트를 볼 때는 요점이 선명하게 들어오고,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았던 교과서의 어려운 대목들도 자연스럽게 해석이 가능해졌습니다. 여러 종류의 시험들에 관여하면서 문제 출제의 시스템과 과정에 대한 이해도 넓어졌습니다. 그러고 나니 과거 학창 시절에 대한 아쉬움과 함께 현재 축적된 우리의 경험과 지식을 전국의 의과대학생들과 나누고 싶은 소망이 생겼습니다.

<핵심정신의학>의 집필은 이 같은 단순한 이유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의 목표는 임상 경험을 통해 체득한 노하우를 투영해서 교과서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기존의 교과서 체계를 따르지 않고서는 수험용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기존에 나와 있는 교과서를 기본으로 하되 그중에 어떤 것들이 핵심적인 내용인지를 짚어주고, 요약과 정리를 제공하며,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쉽게 설명해주는 튜터 형식의 참고서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학생들 수준에서 상위의 지식이라

고 생각되는 부분에는 ‘실력’ 표시를, 기존의 국가고시 기출 문제들을 검토해서 시험에 잘 나오는 부분은 ‘기출’ 표시를 하여 보다 강조했습니다.

<핵심정신의학>은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모든 스텝과 전공의들이 참여하여 약 10개월에 걸쳐 공동으로 작업한 결과물로서 정신건강의학과 의국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기도 합니다. 명지병원은 1987년 개원 이래 경기북서부를 대표하는 병원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2010년에는 정신과 병동에 대한 기존의 고정관념을 획기적으로 바꾼 반개방형 병동 해마루를 오픈했고, 2013년에는 치매안심센터 조기인지중재 프로그램의 모델이 된 백세총명학교를 개설했습니다. 이외에도 원내에 국내 최대 규모의 예술치유센터를, 원외에

경기도 광역치매센터와 경기북서부 해바라기센터,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강서구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운영하며 공공의료에도 활발하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20년간 관동의대와 서남의대의 주 교육수련병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으며, 현재는 한양의대의 교육협력병원이자 국내 유일의 메이요 클리닉 케어 네트워크 병원입니다.

특히 정신건강의학과는 관동의대와 서남의대뿐 아니라 가톨릭의대, 경희의대, 단국의대, 순천향의대, 아주의대, 연세의대에서 다년간 학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을 맡았던 스텝들이 모여 국내 최고의 교육수련 환경을 세팅해 놓았습니다. 현대 정신의학의 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약물 치료를 비롯한 생물학적 치료를 중심으로 하되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과 국내 4대 정신치료 학파 가운데 3개 학파로부터 수퍼비전을 받는 시스템을 확립하여 심리사회적 치료의 수련도 소홀히 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전공의들을 의사면허자로 존중하고, 업무 시간을 준수하면서 교육수련에 집중하는 것은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의 자랑스러운 전통입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의욕적으로 4년을 보내고 나서 우수한 능력을 갖추고 졸업한 전공의들은 현재 전국 각지에서 최고의 전문의가 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입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의국을 물심양면으로 성원해주신 이왕준 이사장님과 김세철 의료원장님, 김진구 병원장님께 존경과 감사를 보내며, 멋진 책이 나올 수 있게 해주신 군자출판사의 장주연 사장님과 김도성 차장님, 배혜주, 안경희 선생님께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또한 이 책은 뛰어난 성적으로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우리의 4년차 오진욱, 박주호 선생님의 헌신적인 수정 작업을 통해 마무리되었습니다.

그들의 앞날에 무궁한 발전과 보람이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현수, 송후림, 김우정, 홍민하, 장진구, 고미애









- 목차 -

CHAPTER 01 정신의학의 역사(History of Psychiatry) 01

CHAPTER 02 정신장애의 신경생물학(Neurobiology of Mental Disorders) 07

CHAPTER 03 인간정신의 발달(Development of Human Mentality) 23

CHAPTER 04 정신병리(Psychopathology) 39

CHAPTER 05 정신과적 면담 및 평가(Psychiatric Interview and Assessment) 53

CHAPTER 06 정신의학적 임상 검사(Clinical Examination of the Psychiatric Patient) 65

CHAPTER 07 정신장애의 진단분류체계(Classification of Mental Disorders) 85

CHAPTER 08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 91

CHAPTER 09 조현병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장애(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ders) 113

CHAPTER 10 앙극성 관련 장애(Bipolar and Related Disorders) 135

CHAPTER 11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s) 151

CHAPTER 12 불안장애(Anxiety Disorders) 169

CHAPTER 13 강박 관련 장애(Obsessive-Compulsive and Related Disorders) 187

CHAPTER 14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Trauma- and Stressor-Related Disorder) 199

CHAPTER 15 해리장애(Dissociative Disorder) 213

CHAPTER 16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Somatic Symptom and Related Disorders) 223

CHAPTER 17 급식 및 섭식장애(Feeding and Eating Disorders) 237

CHAPTER 18 배설장애(Elimination Disorder) 249

CHAPTER 19 수면각성장애(Sleep-Wake Disorders) 257

CHAPTER 20 성장애(Sexual Disorders) 279

CHAPTER 21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 295

CHAPTER 22 물질 관련 및 중독성장애(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311

CHAPTER 23 신경인지장애(Neurocognitive Disorder) 349

CHAPTER 24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367

CHAPTER 25 신체질환에 동반되는 정신질환(Mental Disorders Due to Another Medical Condition) 389

CHAPTER 26 정신신체의학(Psychosomatic Medicine) 399

CHAPTER 27 소아청소년 정신의학(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11

CHAPTER 28 노인정신의학(Geriatric Psychiatry) 421

CHAPTER 29 정신과적 응급(Psychiatric Emergency) 437

CHAPTER 30 정신사회적 치료(Psychosocial Treatment) 447

CHAPTER 31 약물치료 및 물리적 치료법(Pharmacological and Physical Treatments) 461

CHAPTER 32 정신과 영역에서의 법적인 문제들(Forensic Psychiatry and Ethics in Psychiatry) 487

CHAPTER 33 지역사회정신의학(Community Psychiatry) 497

CHAPTER 34 문화정신의학(Cultural Psychiatry) 50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