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피뇽 Champignon[1] Agaricus bisporus.
주름버섯속 식용 버섯이다. 독특한 고소한 풍미와 쫀득한 식감으로 인해 유럽, 북미권에서 엄청나게 인기 있는 버섯이며 재배도 쉬운 편이라 맛에 비해 가격도 저렴하다. 동아시아에서도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송이버섯, 팽이버섯 등과 함께 아주 자주 소비되는 흔한 버섯.
뜬금없이 송이버섯을 연상시킨다며 양송이란 이름이 붙었지만, 큰 느타리버섯을 새송이라고 이름 붙인 것 처럼 그냥 아무 버섯에나 '송이'를 붙이는 상술 때문이지 이 버섯이 송이버섯과 관련이 있는 것은 전혀 아니다. 괜찮은 품질의 양송이가 가진 강렬한 풍미를 따지면 마냥 틀린 말은 아니다.
참고로, 광대버섯류는 양송이와 매우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매우 주의해야한다. 특히, 독우산광대버섯과 알광대버섯, 흰알광대버섯은 야생에서 발견할 경우 양송이와 구분이 불가능하다시피 하기에 서구권에서 가장 사람을 많이 죽인 버섯이란 별명이 붙었을 정도이다.
특징
매우 적절한 맛이 나고 재배도 적절히 쉬워 가격도 참 적절한 버섯으로, 어느 요리에 넣든 참 적절하다. 대륙권 서유럽에서는 정말 별 요리에 다 들어가서, 거의 한국요리에서 마늘 쓰이듯이 여기저기 쓰인다. 피자, 스프, 스튜, 파스타 등등 약간 기름기가 있는 요리라면 어디에든 다 어울린다.
양송이가 자생하는 지역들에서는 그야말로 버섯의 상징 취급을 받으며, 오죽하면 고대 로마시대의 황실 조리법에 양송이버섯과 어장(생선을 발효시켜 만든 소스), 꿀과 허브를 사용한 버섯조림요리가 있을 정도였는데 이는 현재까지 기록으로 전해지는 최초의 버섯요리로 알려져 있다.
흔히 향이 거의 없는 버섯으로 알려졌으나 사실 그렇지 않다. 양송이버섯은 표고버섯과 마찬가지로 사실 풍미가 매우 강렬하지만 품질에 따라 풍미 차이가 천차만별인데, 한국에서는 좋은 배양목에 키운 버섯을 잘 팔지 않고 싸구려 톱밥에다 키운 저급품을 바가지 씌워 팔기에 제대로 된 걸 구하기 힘들 뿐이다. (다만 흰 양송이버섯은 원래 갈색 양송이버섯과 맛이 좀 다르다.) 보통 유럽에 가야 품질 좋은 양송이버섯을 싸게 구할 수 있고, 의외로 북미서 구할 수 있는 양송이버섯은 한국 못지 않게 비싸고 맛이 없다.
갓이 다 퍼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장 맛이 좋기 때문에 보통 갓이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 수확해 판매하는데, 이 특유의 동글동글하고 귀여운 외형이 꽤나 인상 깊어 장식 용도로 쓰이기도 한다. 양송이 성장과정
한국에는 하얀 양송이버섯이 흔하지만, 하얀 양송이버섯은 사실 갈색 양송이버섯의 돌연변이 품종이다. 식감이 더욱 쫀쫀하고 불맛 비슷한 풍미가 더 짙은 대신 풍미의 강렬함이 갈색 양송이버섯보다 더 적어, 보통 서구권 요리에서는 갈색 양송이버섯을 훨씬 더 많이 쓴다. 야생종 양송이
하얀 양송이버섯은 1925년 미국의 한 버섯 농장에서 발견된 돌연변이 품종으로#, 마침 농장주인 루이 퍼디낸드 램버트(Louis Ferdinand Lambert)가 균류학자였기에 이 돌연변이를 대량재배하는 데 성공했다. 그 결과 흰색 양송이는 백설공주(snow white)란 이름으로 불리며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고 갈색 못지 않게 아주 잘 팔린다.
식용버섯이지만, 양송이버섯이 극미량으로 포함하는 '아가리틴(Agaritine)'이라는 물질에 미약한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는 먹지 말아야 한다.[2] 휘발성으로 열에 약해 조금만 가열해도 완전히 무력화되니 다행. 사실상 모든 버섯은 인간에게 무해한 식용 버섯이라도 경미한 독소는 함유했기에 필히 조리해서 먹어야 한다.
워낙 인기 있는 버섯이라 다양한 파생 품종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포토벨로. 흰색 양송이만 팔리던 대한민국에서도 여러가지 갈색 양송이버섯 품종들을 연구해 판매하려고 시도 중이다.[3]
기타
여러 서양 문화권 요리에 쓰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에서도 고기를 구워 먹을 때 부재료로 같이 먹는 경우가 많다. 양송이버섯의 꼭지를 떼고 뒤집어 불판에서 굽다 보면 갓 안에 짙은 색의 물이 고이는데, 이 물에 몸에 좋은 성분이 우러나왔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종종 있다. 보리차와 유사한 맛이 나는데, 버섯의 향도 베어있어 그 맛이 일품이다. 덕분에 인터넷 등지에서는 버섯에 고인 물을 버섯의 영양성분이 녹아든 만병통치약이나 엘릭서 같이 무언가 영험한 효과를 가진듯 취급하는 밈이 존재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이 물은 단순히 버섯의 수분이 고인 것일 뿐이라 딱히 특별한 영양분은 없다고 한다. 스브스뉴스. 가열 중인 버섯에서 베어나오고 뜨거운 채로 버섯에 한참 담겨 있었으니 버섯 향이 제대로 우러나오고, 버섯의 풍부한 감칠맛도 느낄 수 있다. 이 고인 물은 몸에 좋아서가 아니라 그냥 맛으로 먹으면 된다. 익히지 않으면 향이 상당히 강해서 그냥 먹기가 힘든데, 물이 나왔을 때면 버섯도 먹기 좋게 익었기 때문에 물을 보고서 먹을 만한 시점을 알 수 있다. 이는 표고버섯도 마찬가지이다.
메트로 2033에선 모스크바 지하철 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가장 보편적으로 먹는 버섯으로 추정된다. 한글판에서는 번역가가 양송이버섯임을 몰랐는지 유럽식 명칭인 샴피뇽으로 번역해 놓았다.
소울워커의 어윈 아크라이트는 헤어스타일 때문에 별명이 어송이이다.
주요 요리에서는 피자, 스파게티, 파스타, 카레라이스, 수프에 많이 이용된다.
특유의 탱글한 식감, 그리고 잘 알려진 식용버섯이라 안전하다는 인식 때문에 생식하는 경우가 흔한데, 아가리틴이라는 발암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위험한 행동이다. 휘발성 물질이라 익히면 안전해지지만 생식하게 될 경우 암을 유발할 수 있다.
향이 거의 없고 은은하기 때문에 특유의 냄새를 역겨워해서 다른 버섯들을 못 먹는 사람들도 쉽게 먹을 수 있는 경우가 많다.
포르토벨로(portobello) 양송이 버섯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는 양송이보다 갓이 훨씬 큰데, 이걸로 채식주의자용 스테이크를 만들어 먹기도 한다.[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머시룸을 양송이버섯의 동의어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해당 표제어가 등재되었던 1987년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당시 양송이버섯이 국내 시장에 처음 도입되었는데, 일본에서 양송이버섯을 버섯의 영문 명칭인 mushroom을 음차한 マッシュルーム으로 통칭하는 용례가 들어온 관계로 '머시룸'/'머룸'/'머슈룸'이라는 명칭도 양송이와 함께 혼재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표기법을 바로잡기 위해 '머시룸'을 등재하면서 뜻을 적어놓은 것이다 #
마트 같은 곳에서 소량구매를 하는 것 보다 쇼핑몰에서 kg단위로 구매하는 것이 무게 단위 가격이 훨씬 싸다. 이런 특징은 비단 양송이버섯만의 문제가 아니지만 양송이버섯은 가격의 차이가 큰 편이다. 삼시 세끼 양송이를 먹고 싶거나 가족 혹은 입이 많은 경우라면 대량구매를 하는 편이 더 싸고 푸짐하게 먹을 수 있다.
정식 이름은 주름버섯이다.
[1] 버섯의 프랑스어 단어이다. 버섯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버섯일 정도로 대륙권 서유럽에서는 엄청나게 자주 쓰인다. 영어권에선 button mushroom(단추버섯)이라 부르기도.
[2] 그러나 서유럽이나 북미에서는 요리하면서 대충 털어내고 날것으로 한두개 먹는 게 클리쉐에 가깝다.
[3] 2019년 기준 갈색 양송이버섯 개량종들이 해외에 수출됨. 하지만 아직 한국에선 흰색 양송이가 훨씬 대중적이다.
[4] 갓의 색이 갈색이고 익히면 정말 고기패티 느낌이 엇비슷하게 난다.
'산림 경작 > 버섯'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가닥 버섯 시메지 Shimeji (0) | 2025.01.06 |
---|---|
갓송이 Portobello 포르토벨로 (1) | 2025.01.05 |
의외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생물 버섯 🍄 (1) | 2024.12.29 |
푸른 난쟁이버섯 Mycena subcyanocephala (0) | 2024.10.09 |
양식 재배 표고버섯 (0) | 2024.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