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상/천문학
암중점暗重點 블랙홀의 중력 렌즈 효과 Gravitational Lens Effect
시간여행가
2024. 1. 1. 11:55
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rOujs/btsjnaQHEz6/r3vCGdCt5UUxPqkyWt5uRk/img.gif)
![](https://blog.kakaocdn.net/dn/cQhCqK/btsjwrKQ704/6h0m2Sg0rKns2LwAhU4VY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fW0I1/btsjjA4lAcR/Zl33IjQZhkrwBu9aSzW7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AXJ2/btsjlFRrHEE/F9qe527LXKWuwrvdt5HF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tceSt/btsjj8tl3OZ/kDcF2xW5C75vHbjEJqu2W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2zamZ/btsjj8tl3LP/4NKmzdPcmWlrXIu1tTtsL0/img.jpg)
우주 초기에 탄생한 고대 은하에서 복잡한 유기분자가 발견됐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과 중력렌즈 효과를 이용한 이번 관측으로 초기 우주 은하 탄생의 비밀이 일부 벗겨질 것으로 학계는 기대했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을 운용하는 미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 공동 연구팀은 5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우주 탄생 약 15억 년 만에 생성된 은하에서 검출한 유기분자를 소개했다.
연구팀이 관측한 은하는 'SPT0418-47'이다. 유럽남천천문대(ESO)가 세계 최대 규모의 전파망원경 알마(ALMA)를 활용해 2020년 처음 포착한 은하다. 지구에서 약 120억 광년 떨어진 'SPT0418-47'은 초기 우주에 탄생한 은하로 형태는 우리은하와 비슷하다.
반응형